본문 바로가기
경제정보

주식 이동평균선의 다양한 활용 방식

by 차선생리포터 2024. 12. 29.

이동평균선의 활용과 신뢰도
이동평균선의 활용과 신뢰도

 

주식시장에는 큰돈을 가지고 개인 투자자가 수익을 볼 수 없게끔 가격을 조정하는 세력이라는 집단이 존재합니다. 세력은 일부러 가격을 하락시켜 개인 투자자가 손절하는 물량을 다시 매집해 주가를 올린 후 시세차익을 보는 게 목적인데요 오늘은 이런 상황에서 개인투자자가 대응하는 데에 알면 도움이 될 이동평균선이라는 도구에 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60일선의 활용

위와 같은 의도로 세력이 움직일 때 주가 조정에 크게 흔들리지 않기 위한 처방으로 신뢰성 높은 이평선인 60일선을 사용합니다. 매매할 때 주요하게 볼 포인트는 정확하게 60일선에서 매수하는 것이 아닌 60일선에 확실하게 안착했다고 판단되면 진입하는 것입니다. 즉 차트상에서 60일선 지지 자리에서 바로 사는 게 아니라 그 뒤에 양봉이 출현하는 것을 보고 난 뒤 혹은 확실하게 올라온 것을 보고 나서 진입하는 것이 안정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해당 구간에서 정확하게 지지를 해주는지 돌다리도 두들겨보는 심정으로 며칠 동안 확인해봐야 합니다. 그리고 다시 양봉을 주며 돌려주는 모습이 나올 때 매수 진입하는 것이 투자자가 알아야 할 포인트라고 하겠습니다. 5~10일선은 단기·중기 이평선에 해당하다 보니 주가의 등락이 심할 때는 손절이 나기 쉽습니다. 이에 비해 60일선은 주가의 장기추세를 담당하는 만큼 확실히 주가의 단기적인 조정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다만 60일선 이평선 부근에서는 가격 변동성이 상당히 커지기 때문에 급하게 매수하는 것은 위험하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차라리 조금 높은 가격이라도 확실하게 지지해 주는 모습을 보고 진입하면 장기추세가 우상향 할 것으로 예측되므로 단기적인 세력의 장난질에 흔들리지 않고 주식을 보유할 수 있게 되는 원리입니다. 

 

이동평균선의 차트 활용

단기 이평선의 대표 주자인 5일선과 중기 이평선의 대표 주자인 20일선을 활용한 골든크로스 매매 기법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5일선이 위로 상승하면서 20일선을 강하게 교차하는 모습을 보여줄 때 매수 진입하는 것이 핵심인데요 이 매매의 특장점은 회전율이 빠르지만 손실 확률이 낮다는 점에 있습니다. 이 매매 기법을 조금 더 디테일하게 사용하고 싶다면 가급적 20일선이 상승추세에서 15도 정도 하락추세로 흐르다가 5일선이 강하게 위로 올라오는 모습을 포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런 방식은 대형주에 국한되지 않고 중·소형주에도 적용 가능해 상대적으로 매매할 종목이 많다는 장점이 있다고 볼 수 있고 또한 개인 투자자들이 가장 애용하는 이평선인 5일선과 20일선이니만큼 신뢰도도 높고 이는 곧 매매 확률의 성공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이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매수 이후에 20일선을 확실하게 이탈하는 모습을 보이면 손절매를 통해 추후에 기회를 엿봐야 합니다. 5일선이 거의 수직으로 급격히 상승해서 올라오는 흐름이라면 꼭 잡아야 하는 상승국면 초입으로 볼 수 있는데 그만큼 5일선이 급격히 20일선을 뚫어주면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앞서 골든크로스도 단·장기 매매로 활용할 수 있음을 배웠습니다. 5~10일선 골든크로스는 너무 단기 매매에 비중이 실려 있어 손실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데 이와는 반대로 20~60일선 골든크로스는 안정적이지만 장기추세에 초첨이 맞춰 있다 보니 주식 종목의 회전율 부분에서는 아쉬움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 설명드린 5일선과 20일선을 활용한 골든크로스 매매 기법은 회전율과 손절 리스크 둘 모두를 해소해 주는 매매 기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르게 활용하는 이동평균선

5일선과 20일선의 이동평균선을 이용하는 또 다른 방법이 하나 더 있습니다. 단기 매매를 대표하는 5일선, 중기 매매를 대표하는 20일선, 그리고 매수세가 매도세보다 강한 날 발생하는 양봉 캔들을 활용하는 방법인데요 단기적으로 우상향 했던 상황에서 양봉 캔들의 매수세를 이용해 20일선도 돌파하는 순간을 캐치하는 기법이라고 할 수 있지요 이 매매 방식은 큰 그림에서 다음 몇 가지를 참고하면 좋습니다. 첫째, 재무적으로 영업이익이나 당기순이익이 흑자인 회사여야 한다는 것이고, 지속적으로 하락추세의 종목을 선택하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둘째, 하락은 5일선과 같은 기울기로 유지되고 있는 것이 좋으며 하락하다가 단기 바닥을 잡아준 뒤 5일선과 20일선 사이에 양봉이 '완전히' 들어갈 때 매수합니다. 마지막으로 캔들의 꼬리나 몸통이 5일선과 20일선에 걸치거나 애매한 모습을 띠고 있을 때는 매매하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이때 5일선과 20일선 사이에 있는 캔들은 음봉이 아닌 양봉일 때고 가급적 샛별형(도지형, 십자가형) 캔들이면 더 좋습니다. 이러한 모습이 출현한 이후에는 상당히 높은 확률로 이평선 5~20일선 골든크로스도 발생하게 된다는 것을 알고 투자자는 알고 가야 하는 것입니다. 앞서 소개한 골든크로스 매매와는 다른 기법이지만 지금 설명드린 5일선과 20일선의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방법은 시장에서 하이브리드 매매라고 부르는 것인데요 다음 포스팅에서 좀 더 자세하게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또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질문을 주시면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