셋톱박스에 대해서 알고 계시나요? SK나 KT, LG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에 가입할 때 의례적으로 IPTV가 포함된 결합상품을 가입하게 되는데 자사 IPTV를 세팅하기 위해 네모난 기기를 TV 주변부에 설치해 주는데요 이것이 바로 셋톱박스입니다. 쉽게 얘기해서 셋톱박스는 외부 신호를 받아 TV에 영상을 표시해 주는 장치입니다. 오늘은 이 셋톱박스 산업의 개요와 향후 투자 전망에 대해서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셋톱박스 산업의 개요
인터넷이 보급되고 신흥 시장 확대에 따른 환경 변화 속에서 셋톱박스 업체가 경쟁력을 갖기 위해 다양한 제품으로 포트폴리오가 구성되고 있고, 일정 수준의 매출 유지를 위한 방송사업자들과의 연결 및 기술개발이 한창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셋톱박스는 방송매체에 따라 위성방송, 케이블방송, 지상파방송, IPTV 및 OTT 셋톱박스로 구분됩니다. 국내에서는 통신 3사의 공격적인 마케팅에 힘입어 IPTV 및 OTT 셋톱박스가 대세를 이루고 있습니다. IPTV는 케이블방송뿐만 아니라 인터넷 기능을 포함합니다. TV에서 인터넷 사이트를 열 수 있는 이유가 IPTV 셋톱박스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OTT 셋톱박스는 TV에서 넷플릭스, 유튜브, 디즈니플러스 등 다양한 OTT 플랫폼을 시청할 수 있게 지원해 주는 셋톱박스입니다. 물론 OTT는 TV에서 인터넷으로 해당 사이트에 방문해서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OTT 셋톱박스를 이용하면 TV 홈화면에서 바로 OTT 플랫폼으로 접속할 수 있고, UI(User Interface) 역시 TV에 맞게 잘 갖추어져 있습니다. 그런데 셋톱박스만이 OTT 플랫폼 UI를 깔끔하게 제공해 주는 주변기기가 아닙니다. 셋톱박스 기능을 포함한 내장형 칩이 들어 있는 스마트 TV가 있다면 굳이 셋톱박스는 필요가 없는 것이지요.
산업의 특징과 성장성
셋톱박스 시장은 수출 중심입니다. 셋톱박스 대표 기업인 가온미디어의 매출액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60%가량입니다. OTT 셋톱박스 전문 기업인 알로이스는 100% 해외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해외로 판매되는 셋톱박스는 미주,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지역에 골고루 수출되고 있습니다. 스마트 TV는 PC와 TV를 하나로 합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TV에서도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해서 스마트폰이나 PC처럼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등 글로벌 전자제품 제조 기업은 일찍이 셋톱박스 사업을 정리하고 스마트 TV에 집중했습니다. 그러나 TV 시장의 기대와는 달리 하드웨어 성능 부족으로 스마트 TV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데 한계가 있었고 애플리케이션 작동도 잘 되지 않았습니다. 가격도 기존 TV에 비해 비쌌습니다. 이런 스마트 TV의 한계점이 밝혀지면서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IPTV가 TV 시장의 주류로 떠올랐습니다. 셋톱박스 시장의 주요 고객사인 방송사, 통신사 역시 스마트 TV보다는 유지보수 수요가 덜한 IPTV를 선호했습니다. 이러한 점이 10년째 소멸 논란이 있지만 여전히 셋톱박스 산업이 건재하는 이유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셋톱박스 산업이 마냥 긍정적이지는 않습니다. 방송 기술의 진보로 셋톱박스 기기들은 꾸준히 진화했으며 이를 따라가지 못한 기업은 저가제품의 공세를 이기지 못해서 도태되고 있습니다.
셋톱박스 기업의 투자 방향
셋톱박스 시장은 이미 성숙기를 맞은 지 오래이므로 차별화된 제품과 기술을 보유한 기업에 주목해야 합니다. 셋톱박스의 주요 부품이 반조체이므로 반도체 가격은 세트 기업의 실적에 영향을 미칩니다. 일례로 2017년, 2018년 메모리 반도체 가격 상승으로 셋톱박스 기업들의 이익률이 낮아진 적이 있습니다. 반대로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크게 하락한 2019년에는 셋톱박스 기업들의 수익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런 관련 부품군의 시황에 영향을 받는 셋톱박스 기업의 주가 특이점을 투자자는 주목하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방송 기술의 발전에 따라 셋톱박스의 유형도 점점 진화하고 있습니다. 현재 시장을 주도하는 품목은 IPTV 및 OTT 셋톱박스입니다. 투자 관점에서도 해당 제품을 만드는 기업에 주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셋톱박스 시장은 지난 10년간 구조조정을 겪었습니다. 살아남은 기업들은 음성인식 기술 기반의 AI 셋톱박스등 신제품을 출시하면서 차별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셋톱박스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통신장비로 영역을 확장한 기업도 있습니다. 차별화된 제품과 기술을 보유한 기업을 체크하는 것, 투자자라면 바로 이 부분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 산업의 개요와 투자 전망 (2) | 2024.12.12 |
---|---|
여행과 호텔 산업의 미래 방향과 투자 관점 (3) | 2024.12.11 |
동물의약품 산업의 투자 방향과 전망 (4) | 2024.12.08 |
근로소득 세액공제 대비 근로장려금의 장단점 (8) | 2024.10.20 |
근로장려금 신청 절차 단계별 안내 (2) | 2024.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