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10만 원 한도에서 청년들에게 교통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은 150,000명에 대해 선착순 지급을 하고 있으니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고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신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 이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의 내용과 지원 대상, 그리고 카드 방식과 신청 전후 유의사항에 대해서 알기 쉽게 정리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천천히 보시고 이 혜택의 대상이 되시는 분이라면 놓치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시죠.
사업의 개요와 지원 대상
이 사업의 대상 교통수단은 버스와 지하철을 포함하여 지원 금액은 등록된 교통카드 이용 금액의 20%인데 최대 연간 10만 원 한도의 교통 마일리지를 지급받게 됩니다. 지원 대상에는 조건이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서울로 되어 있어야 하며, 만 19세에서 24세에 속하는 청년이어야 합니다. 만 나이 계산법에 의하면 98년 1월 1일생부터 04년 12월 31일생에 해당한다는 점을 우선 체크하십시오.
지원자 선착순 150,000명의 조건이 있는 만큼 신청 기간에 주목하셔야 하는데 2023년 3월 28일부터 5월 31일까지이며, 등록된 교통카드 금액의 20%, 연간 최대 10만 원의 지원을 받는다는 점 체크하시면 됩니다. 10만 원이라는 돈이 큰 금액 같지 않더라도 이런 돈 한 두 푼이 모여서 필요한 노트북도 구매하고 그러면서 사람이 퍼포먼스도 좋아지고 하는 것이지요. 혜택 받으실 수 있는 조건이시라면 놓치는 일이 없어야 할 것입니다.
지급하는 방법은 선불 교통카드와 후불 교통카드에 따라 나뉘는데 아래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 대중교통비 신청방법
우선 필요한 교통카드를 준비하는데 자신이 갖고 있는 카드가 선불 방식인지 후불 방식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선불 교통카드 - 티머니(모바일티머니, 티머니 플레이트 카드), 삼성페이
- 후불 교통카드 - 보통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신한, 비씨, 삼성, 하나, 우리, 현대, 국민 발행 실물카드
우선 이 큰 구분을 할 수 있도록 하십시오. 그다음 선불 교통카드의 티머니 같은 경우는 티머니 카드&페이에 회원 가입 후 T마일리지 서비스 가입이 선행되어야 하고 그 후에 '청년몽땅정보통'이라는 홈페이지에서 인증 작업을 거쳐야 합니다. 뭐 이 과정이 크게 복잡하지 않습니다. 주민번호, 주소 등을 입력하고 교통카드 고유번호 16자리 숫자에 대한 인증 작업을 청년몽땅정보통이라는 그 홈페이지에서 계속 진행하면 됩니다. 인증 절차는 홈페이지 구성이 알기 쉽게 직관적으로 되어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음으로 후불 교통카드에 해당하는 실물카드의 경우 주의할 점은 하나카드의 경우 BC로고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습니다. BC로고가 있으면 하나BC카드로 등록, BC로고가 없으면 하나카드로 등록한다는 점을 유의하십시오. 선불 교통카드와 마찬가지로 '청년몽땅정보통'에서 인증 작업을 거치는데 거주지, 연령 등의 개인정보 입력, 그리고 카드번호 포함 카드사의 정보를 있는 그대로 입력하면 신청이 끝나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진행과정이 어렵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고 이참에 청년 혜택 정보가 담겨있고 수시로 업데이트되는 청년몽땅정보통이라는 사이트를 즐겨찾기 해두시고 시간 있을 때마다 좀 둘러보고 하시면 생각하지 못했던 여러 가지 정보를 얻으실 수도 있게 되실 겁니다.
주의할 점
확인해야 할 유의사항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당해연도에 다음과 같은 사업의 지원금 혜택을 받은 경우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에 참여가 제한되니 체크하십시오. 서울시 청년수당,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지원 사업, 고용노동부 국민취업지원제도 등 이 세 가지의 지원금을 받은 적은 없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신청기간이 종료되면 등록카드 변경이 불가하니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교통카드 확인 그리고 선불, 후불의 카드 중에 무엇을 사용하는 것이 본인의 포인트 적립 등에 도움이 되는지 신청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결정을 확실히 매듭지으면 좋습니다. 또 여러 카드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 1개의 카드사만 등록할 수 있다는 점도 기억하시고, 이해가 어려운 부분은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사업 콜센터(1644-9241)를 통해 친절한 안내를 받아 해결하시기 바랍니다.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좋은 혜택이 있을 때 잘 받아먹을 수 있는 현명한 청년들이 되시기 바라며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